코더 장군
강아지코더
코더 장군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7)
    • 프론트엔드 (24)
      • react (9)
      • html5 * css3 (1)
      • Javascript (10)
    • 개발일기 (36)
      • 알고리즘 (27)
      • 블록체인 (3)
      • mongoDB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백준
  • 비공개#일기
  • 일기#심리상담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코더 장군

강아지코더

프론트엔드/react

리액트 라이프사이클의 이해

2021. 11. 28. 17:53

 리엑트를 공부하면서 라이프사이클이 이해가 안 된 상태에서 리엑트를 작성 했을때랑 리엑트는 너무나 어려운 언어였고 js보다 작성 하기가 힘들다. 그런데 한번 라이프 사이클를 이해하고 react 를 다시 작성했을때 react는 어떤 프레임워크보다 쉽고 재미있는 언어가 되였고 자유도가 js보다 월등하게 높을걸 느낄수 있었다. 그렇기에 머리 속에서 사라지기 전에 블로그로 정리해 볼려구 한다. 

 

일딴 공식문서에서 리엑트 사이클 도표를 확인 하고 들어 가자 

  https://projects.wojtekmaj.pl/react-lifecycle-methods-diagram/

 

React Lifecycle Methods diagram

Fully interactive and accessible React Lifecycle Methods diagram.

projects.wojtekmaj.pl

 

리엑트 라이플사이클이란?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의 View를 중심으로 한 라이브러리이다. 그러다보니 각각의 컴포넌트에는 라이프사이클 즉, 컴포넌트의 수명 주기가 존재한다. 컴포넌트의 수명은 보통 페이지에서 렌더링되기 전인 준비 과정에서 시작하여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이난다.

 

라이프사이클의 분류

라이프 사이클은 9개로 나눈다.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성 될때, 업데이트 할 때, 제거할 때이다. 이를 리액트에서는 마운트, 업데이트, 언마운트라고 한다. 

여기서 마운트는 DOM이 생성되고 웹 브라우저 상에서 나타나는 것을 뜻하고, 반대로 언마운트는 DOM에서 제거되는 것을 뜻한다.

주의하여 볼 것은 업데이트 부분인데,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상황에서 발생한다.

  1. props가 바뀔 때
  2. state가 바뀔 때
  3.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
  4. this.forceUpdate로 강제로 렌더링을 트리거할 때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각각의 라이프 사이클이 무엇이고 어떻게 Class와 Hooks를 활용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constructor

자바 같은 언어를 써봤다면 들어봤을 만한 constructor(생성자)이다. 이것은 자바와 마찬가지로 컴포넌트를 만들 때 처음으로 실행된다. 이 메서드에서는 초기 state를 정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ount: 0 };
}

// Hooks
const Example = () => {
    const [count,setCount] = useState(0);
}

클래스형에서는 초기 state를 정할 때 constructor를 사용해야한다. 하지만 훅에서는 useState hook을 사용하면 초기 상태를 쉽게 설정해줄 수 있다.

 

2. getDerivedStateFromProps

- 추후 리액트 측에서 업데이트 할 시 보충 필요

이 메서드는 리액트 16.3버전 이후에 생긴 메서드이다. props로 받아 온 값을 state에 동기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며, 컴포넌트가 마운트될 때와 업데이트 될 때 호출된다.

나는 아직 이 메서드를 써본적이 없긴한데 다음의 예같은 곳에서 쓰인다고 한다. 아직 써본적이 없어서 class에서의 메서드 사용법과 hooks 사용 예를 간단히 링크로 남겨놓고 쓰게 된다면 포스팅을 수정하도록 해야겠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nextProps, prevState) {
    if (nextProps.value !== prevState.value) {
      return { value: nextProps.value }
    }
    return null
  }
}
  • getDerivedStateFromProps Hooks 사용 예

3. shouldComponentUpdate

이 메서드는 props나 state를 변경했을 때, 리렌더링을 할지 말지 결정하는 메서드이다. 이 메서드에서는 반드시 true나 false를 반환해야한다. 이 메서드는 오직 성능 최적화만을 위한 것이며 렌더링 목적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된다면 버그로 이어질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
    return nextProps.value !== this.props.value
  }
}

// Hooks
const Example = React.memo(() => {
      ...
  },
  (prevProps, nextProps) => {
    return nextProps.value === prevProps.value
  }
)

클래스형도 보통은 PureComponent를 추천한다고 하고 Hooks 에서도 props는 React.memo, state는 useMemo를 활용하면 렌더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한다.

5. getSnapshotBeforeUpdate

- 추후 리액트 측에서 업데이트 할 시 보충 필요

이 메서드는 render에서 만들어진 결과가 브라우저에 실제로 반영되기 직전에 호출된다. 공식문서의 말을 따보자면 이 메서드에 대한 사용 예는 흔하지 않지만, 채팅 화면처럼 스크롤 위치를 따로 처리하는 작업이 필요한 UI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한다.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
    if (prevProps.list.length < this.props.list.length) {
      const list = this.listRef.current
      return list.scrollHeight - list.scrollTop
    }
    return null
  }
}

함수형에서는 아직 이 기능을 대체할만한 hook이 없다고 한다..

이 내용을 읽고 아직 이해가 안된다면 velopert님의 lifecycle 페이지의 getSnapshotBeforeUpdate 부분를 참조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다.

6. componentDidMount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를 만들고 첫 렌더링을 마친 후 실행한다. 함수형 Hooks 에서는 useEffect를 활용하여 다음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Mount()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
    }, []);
}

여기서 useEffect의 [] 의존성 배열을 비워야지만 똑같은 메소드를 구현할 수 있다.

useEffect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리액트 공식문서-useEffect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7. ComponentDidUpdate

이것은 리렌더링을 완료한 후 실행한다. 업데이트가 끝난 직후이므로, DOM관련 처리를 해도 무방하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
    });
}

8. componentWillUnmount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를 DOM에서 제거할 때 실행한다. componentDidMount에서 등록한 이벤트가 있다면 여기서 제거 작업을 해야한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Effect CleanUp 함수를 통해 해당 메서드를 구현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omponentWillUnmount()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return () => {
            ...
        }
    }, []);
}

9. componentDidCatch

- 추후 리액트 측에서 업데이트 할 시 보충 필요

마지막으로 맨 위의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componentDidCatch라는 메서드가 존재한다.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 렌더링 도중에 에러가 발생 했을 때 애플리케이션이 멈추지 않고 오류 UI를 보여줄 수 있게 해준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Catch(error, info) {
    console.log('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

리액트 공식문서에서는 곧 Hooks에 해당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를 추가할 예정이 있다고 한다.

 

https://kyun2da.dev/react/%EB%A6%AC%EC%95%A1%ED%8A%B8-%EB%9D%BC%EC%9D%B4%ED%94%84%EC%82%AC%EC%9D%B4%ED%81%B4%EC%9D%98-%EC%9D%B4%ED%95%B4/#6-componentdidmount

 

리액트 라이프사이클의 이해

시작하기 전에 리액트 라이프 사이클을 원래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한번도 정리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서 글을 쓰게 되었다. 더불어 리액트 라이프 사이클과 최근 사용되는 Hooks와도 비교해

kyun2da.dev

 

리액트는 클래스형과 함수형으로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주로 함수형 컴포넌트가 많이 사용된다.

함수형 컴포넌트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간단하게 함축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각각의 특징을 표로 정리해 보았다.

 

  클래스형 컴포넌트 함수형 컴포넌트
특징 render() 메소드와 Component 상속 필수 간편한 컴포넌트 선언 및 프로그래밍 가능
React Hook을 사용
단점 state, props 사용 불편
많은 메모리 사용
state와 생명주기(Life Cycle) 메소드를 별도로 구현해야 함
=> useState, useEffect 사용

 

보통 서점에서 리액트 서적을 구입하면 클래스형 컴포넌트 기준으로 주로 기술되어 있어서 처음 리액트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복잡한 코드에 진입 장벽을 많이 느낀다. 

하지만 함수형으로 컴포넌트를 선언하면 간결한 코드와 쉬운 난이도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나도 함수형을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사람 일은 어떻게 될 지 모르기에 클래스형 컴포넌트도 열심히 공부하자!

함수형 컴포넌트의 유일한 단점인 생명주기도 React Hook의 useEffect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래 대표적인 생명주기의 예시 코드를 정리해 보았다.

'프론트엔드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컴포넌트 렌더링 이후 effect 수행하기  (0) 2022.01.24
moment를 적용 하면서  (0) 2022.01.12
AXIOS를 통한 서버연결  (0) 2021.12.12
디자인 패턴이란 무엇인가?  (0) 2021.11.29
REDUX 란? 상태관리 프로그램이란?  (0) 2021.11.29
    '프론트엔드/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oment를 적용 하면서
    • AXIOS를 통한 서버연결
    • 디자인 패턴이란 무엇인가?
    • REDUX 란? 상태관리 프로그램이란?
    코더 장군
    코더 장군
    강아지 키우고 있는 소소한 개발자 성장기를 쓰는 일기장입니다

    티스토리툴바